
지난 게시글에서 안보의 개념이 전통적인 '국가 사활적 이익 수호'에서 비전통적인 안보까지 확장되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.
오늘은 한국에서 발생한 비전통적 안보 위협의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공급 안보 (Supply Security) : ex. 중국 요소수 사건
시장 접근 성 안보 (Market-access Security) : ex. 중국 사드 대응, 보이콧
기술-산업 능력 안보 (Techno-industrial Security) : ex. 반도체
금융-신용 안보 (Finance-Credit Security) : ex. 자산 동결, 금융 거래 제한
횡단국경적 (Trans-Border) 협력 안보 : ex. 국경 통제, 이동통제 협력
1. 공급 안보 (Supply Security) - 중국 요소수 사건
사건 개요:
- 2021년 중국이 요소(요소수의 원료) 수출을 제한하면서 한국의 요소수 공급에 차질이 발생했다.
- 요소수는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를 줄이는 데 필수적인 물질로, 공급 부족이 물류 대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컸다.
대응 및 결말:
- 한국 정부는 긴급 조치로 호주 등 다른 국가에서 요소를 긴급 수입했다.
- 중국과의 외교 협상을 통해 일부 요소 수출을 재개하도록 했다.
- 이후 한국은 요소 및 필수 원자재 공급망을 다변화하고, 요소수 생산시설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했다.
➡ 결론: 요소수 사태는 단기적으로 해결되었지만, 특정 국가에 대한 원자재 의존의 위험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.
2. 시장 접근성 안보 (Market-Access Security) - 중국 사드 대응, 보이콧
사드(THAAD) 배치와 중국의 경제 보복:
- 2016년 한국이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(사드)를 배치하자, 중국이 한국 제품과 기업에 대한 경제적 보복 조치를 취했다.
- 보복 사례:
- 롯데마트의 중국 내 사업 철수 압박 → 결국 롯데마트 중국 철수
- 한국 관광 상품 제한 (중국인의 한국 단체 관광 금지)
- 한국 연예인·문화 콘텐츠 금지(한한령)
대응 및 결말:
- 한국 기업들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동남아 시장 개척에 나섰다.
- 중국의 보복 조치는 장기적으로 한국 기업들의 시장 다변화 계기가 되었고,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변화했다.
- 2023년 이후 한한령 완화 움직임이 일부 보였으나,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다.
➡ 결론: 단기적으로 한국 기업들이 피해를 입었지만, 장기적으로는 시장 다변화를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.
3. 기술-산업 능력 안보 (Techno-Industrial Security) - 반도체 공급망 문제
반도체 공급망 위기:
- 2020~2022년 코로나19 팬데믹과 미·중 갈등으로 인해 반도체 공급망이 붕괴되었다.
- 미국은 ‘CHIPS and Science Act(반도체법)’을 통해 반도체 생산을 미국 내로 유치하려 했고, 중국은 반도체 자급률을 높이려 했다.
- 한국과 대만 등 반도체 강국은 미국·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.
대응 및 결말:
- 한국은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과 협력하면서도 중국 시장도 일부 유지하는 전략을 취했다.
- 반도체 기업들은 한국 내 반도체 클러스터(용인 반도체 산업단지) 조성 및 연구개발 투자 확대에 나섰다.
- 2024년 현재, 미국의 반도체법과 중국의 반도체 국산화 정책이 계속 진행 중이며,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.
➡ 결론: 반도체 공급망 위기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, 한국 등 주요 생산국은 자국 내 생산 역량을 키우면서도 미·중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.
4. 금융-신용 안보 (Finance-Credit Security) - 자산 동결 및 금융 거래 제한
사례: 러시아 경제 제재
-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,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에 대한 강력한 금융 제재를 시행했다.
- 러시아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3,000억 달러 동결
- 러시아 주요 은행 SWIFT 결제망 퇴출
- 서방 기업들의 러시아 철수 (맥도날드, 애플 등)
대응 및 결말:
- 러시아는 중국, 인도 등과 금융 협력을 강화하고, 루블화 기반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대응했다.
- 하지만 서방의 금융 제재로 인해 러시아 경제는 크게 위축되었으며, 장기적인 경제 성장 가능성이 불투명해졌다.
-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서 탈달러화(de-dollarization) 움직임이 일부 나타났으나, 미국 달러의 지배력은 여전히 강하다.
➡ 결론: 금융 제재는 러시아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지만, 러시아는 새로운 금융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대응 중이다.
5. 횡단국경적 협력 안보 (Trans-Border Security) - 국경 통제 및 이동 통제 협력
사례: 코로나19 팬데믹과 국가 간 이동 통제
-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각국은 국경을 봉쇄하고, 국제 이동을 제한했다.
- 입국 제한, PCR 검사, 백신 여권 도입 등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과 관광산업이 마비되었다.
- 주요 국가들의 경제 성장률이 급락했고,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었다.
대응 및 결말:
- 각국은 2021년 이후 백신 접종 확대와 함께 점진적으로 국경 개방을 시작했다.
- 2022~2023년부터 대부분의 국가가 이동 제한을 해제하면서 정상화되었다.
- 그러나 일부 국가는 여전히 공중 보건 위기 시 국경 통제 조치를 다시 시행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.
➡ 결론: 팬데믹으로 인해 국경 통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지만,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이동의 자유가 다시 회복되었다.
최종 정리
비전통적 안보 위협 사례들은 대부분 단기적인 충격 후 해결책이 모색되었지만,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.
- 공급망 리스크 관리, 시장 다변화, 기술 자립, 금융 리스크 대비, 국제 협력 강화가 앞으로도 중요한 안보 전략이 될 것이다.
'취미가 공부 > 정보보안 & 안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방과 군사력의 역할 알아보기 (0) | 2025.03.24 |
---|---|
중국의 사드(THAAD) 보복 사건 알아보기 (6) | 2025.03.23 |
국가 안보의 영역은 어디까지일까? (1) | 2025.03.21 |
탄핵 인용, 기각, 각하 란 무엇일까? 뜻과 의미 완벽 정리! (2) | 2025.03.14 |
NATO(북대서양 조약 기구)란? (0) | 2025.03.0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