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(1) THAAD(사드,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)란?
**THAAD(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,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)**는 적의 탄도미사일을 대기권 내외에서 요격하는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다.
1. THAAD의 주요 특징
- 목적: 적의 중·단거리 탄도미사일을 고고도(40~150km)에서 요격하여 격추하는 방어 시스템.
- 운용국: 미국, 한국, 일본, 괌, 이스라엘, 사우디아라비아 등.
- 구성 요소:
- 요격 미사일(Interceptor Missile) – 목표 미사일을 직접 타격해 격추
- AN/TPY-2 레이더(X밴드 레이더) – 1,000~3,000km 거리에서 미사일 탐지 및 추적
- 사령통제 시스템(Fire Control & Communication) – 발사 명령 및 요격 유도
2. THAAD의 특징과 장점
✅ 고고도 요격 → 미사일이 대기권에 진입하기 전·후 단계에서 요격 가능
✅ 직격파괴(Kinetic Kill) → 폭발 없이 충돌로 파괴, 핵탄두 폭발 위험 감소
✅ 빠른 반응 속도 → 발사 후 3~4분 내 요격 가능
✅ 광범위한 탐지 범위 → 강력한 X밴드 레이더로 장거리 탐지 가능
3. 한국에 THAAD가 배치된 이유
- 북한의 핵·미사일 위협 대응
- 북한이 중·단거리 탄도미사일(스커드, 노동, KN-23 등)을 발사하면서 한국의 미사일 방어 능력 강화 필요성이 대두됨.
- 기존 패트리엇(Patriot) 요격 미사일보다 사거리가 긴 THAAD가 필요하다는 판단.
- 한·미 동맹 강화
- 미국이 한국에 사드 배치를 요청했으며, 한·미 군사 협력 차원에서 2017년 경북 성주에 배치됨.
(2) 중국 THAAD 보복 사건 알아보기
1. 사건 개요
- 2016년 7월, 한국 정부(박근혜 정부)는 북한의 핵·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(THAAD, 사드)를 주한미군에 배치하기로 결정했다.
- 중국은 THAAD의 강력한 레이더(X밴드 레이더)가 중국 내 군사 기지를 감시할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.
- 중국은 한국에 대한 전방위적인 경제·문화·외교적 보복 조치를 단행했다.
2. 중국의 경제 보복 조치
중국은 한국을 직접적인 군사적 방법으로 압박하는 대신, 경제적 수단을 활용한 보복을 선택했다.
- 한국 기업에 대한 제재
- 롯데그룹: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을 표적으로 삼아 중국 내 롯데마트 90% 이상을 영업정지시킴. 이후 롯데마트는 사업을 철수하고 중국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.
- 현대·기아자동차: 중국 내 자동차 판매 급감, 현지 공장 가동률 저하.
- 삼성·LG전자: 중국 내 매출 감소 및 사업 위축.
- 한류(韓流) 금지령(한한령, 限韓令)
- 한국 드라마, 영화, 예능 등의 중국 내 방영 및 스트리밍 금지.
- 한국 연예인의 중국 활동 및 광고 출연 제한.
- 중국 내 한국 공연 및 K-POP 콘서트 금지.
- 관광 보복
- 중국 정부는 한국행 단체 관광을 전면 금지.
- 중국 내 여행사들에게 한국 여행 패키지 판매 금지 조치를 내림.
- 한국 관광 산업(특히 제주도 면세점과 관광업계)에 큰 타격을 줌.
- 한국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
- 화장품, 가전제품, 의류 등 한국산 제품 불매 운동 전개.
- 한국 기업 제품에 대한 수입 통관 강화 및 비관세 장벽 부과.
3. 한국의 대응과 결과
- 중국 의존도 줄이기 위한 노력
- 한국 기업들은 중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, 동남아·미국·유럽 시장으로 진출 확대.
- 현대·기아차는 중국에서 철수하는 대신 미국·인도·동남아 시장에 집중.
- 롯데, CJ, 삼성 등 주요 기업들은 중국 내 사업 축소 및 베트남, 인도네시아 등으로 투자 다변화.
- 한한령(限韓令) 일부 완화
- 2021년 이후 중국의 일부 매체에서 한국 콘텐츠 방영이 재개되었지만, 한한령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음.
- 일부 한국 배우와 가수가 다시 중국 무대에 서기 시작했지만, 여전히 제약이 많음.
- 사드 추가 배치 논란
- 한국은 문재인 정부 시절 중국과 "3불 정책"(사드 추가 배치 안 함, 미국 미사일 방어체계 불참, 한·미·일 군사 동맹 불추구) 약속을 통해 관계를 완화하려 함.
- 하지만 윤석열 정부(2022년~) 들어 사드 추가 배치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면서 중국과의 외교적 긴장감이 유지됨.
- 기타 국내의 논란
- 환경 문제: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가 주변 환경과 주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제기.
- 외교 갈등: 사드 배치가 한·중 관계 악화 및 미·중 갈등 심화로 이어짐.
- 효용성 논란: 북한의 저고도 탄도미사일(예: KN-23, KN-24)에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주장도 있음.
4. 결론 및 시사점
- 경제 보복은 한국에 단기적 타격을 주었지만, 장기적으로 한국 기업들이 시장 다변화를 추진하는 계기가 됨.
- 중국은 경제적 수단을 활용한 보복을 외교 정책으로 적극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, 이는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침.
- 한국의 공급망 및 시장 다변화 전략이 중요함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음.
- 사드 배치 문제는 여전히 한·중 관계에서 중요한 외교적 쟁점으로 남아 있음.
728x90
반응형
'취미가 공부 > 정보보안 & 안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방에서의 억제(Deterrence): 개념과 유형 및 사례 (0) | 2025.03.25 |
---|---|
국방과 군사력의 역할 알아보기 (0) | 2025.03.24 |
비전통적 안보 위협의 사례 알아보기 (1) | 2025.03.21 |
국가 안보의 영역은 어디까지일까? (1) | 2025.03.21 |
탄핵 인용, 기각, 각하 란 무엇일까? 뜻과 의미 완벽 정리! (2) | 2025.03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