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날씨가 추워지면 “공기가 맑아졌다”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. 반대로, 따뜻한 날씨에는 미세먼지가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. 겨울철엔 미세먼지가 줄어들고, 봄·가을에는 미세먼지가 심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?
그 답은 고기압과 저기압의 특성과 대기의 움직임에 있다. 이번 글에서는 고기압과 저기압이 날씨에 미치는 영향, 그리고 미세먼지와 추운 날씨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.
⸻
1. 고기압과 저기압이란?
고기압과 저기압은 기압의 차이에 따라 날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.
✅ 고기압(高氣壓, High Pressure)
• 공기가 하강하면서 기압이 주변보다 높은 상태
• 하강 기류 때문에 구름이 만들어지기 어렵고, 맑은 날씨가 많음
• 바람이 약하고, 대기가 정체되기 쉬움
✅ 저기압(低氣壓, Low Pressure)
• 공기가 상승하면서 기압이 주변보다 낮은 상태
• 상승 기류로 인해 구름이 잘 형성되고, 비나 눈이 내릴 가능성이 높음
• 바람이 강하고, 공기가 순환되면서 대기가 혼합됨
📌 핵심 정리:
• 고기압이 강한 날 → 맑지만 대기가 정체됨 (미세먼지 축적 가능성↑)
• 저기압이 강한 날 → 흐리고 비·눈이 오지만, 공기가 잘 섞여 미세먼지가 줄어듦
⸻
2. 미세먼지와 고기압·저기압의 관계
미세먼지는 대기의 흐름이 원활한지 여부에 따라 농도가 크게 달라진다.

✅ 1) 고기압과 미세먼지: 맑지만 공기가 탁한 날
• 고기압이 형성되면 공기가 아래로 내려가면서(하강 기류) 대기가 정체됨.
• 바람이 약하고,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미세먼지가 쌓이기 쉬움.
• 특히, 겨울철에는 중국에서 유입된 미세먼지가 정체되면서 농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음.
✅ 고기압이 미세먼지를 증가시키는 경우
✔ 겨울철 중국발 스모그가 유입된 후, 바람이 약할 때
✔ 바람이 약하고 대기가 정체되어 오염물질이 쌓일 때
✔ 공장과 자동차 배기가스가 축적되면서 공기 질이 악화될 때
⸻
✅ 2) 저기압과 미세먼지: 흐리지만 공기가 깨끗한 날
• 저기압이 형성되면 공기가 상승하면서 바람이 강해지고, 대기가 잘 섞인다.
• 미세먼지가 위로 올라가거나 비와 함께 씻겨 내려가면서 농도가 낮아진다.
• 바람이 강한 날에는 국내 미세먼지가 바다로 빠져나가거나, 중국에서 미세먼지가 밀려오는 것을 차단하기도 한다.
✅ 저기압이 미세먼지를 줄이는 경우
✔ 비나 눈이 내리면서 미세먼지가 씻겨 내려갈 때
✔ 강한 바람이 불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때
✔ 대기 불안정으로 오염물질이 분산될 때
⸻
3. 추운 날씨와 미세먼지: 왜 추우면 공기가 깨끗할까?
겨울철에는 미세먼지가 심할 때도 있지만, 유독 공기가 맑고 깨끗한 날이 많다. 추운 날씨가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이유는 무엇일까?
✅ 1) 찬 공기는 무겁고, 대기를 안정화시킨다.
• 기온이 낮아지면 공기가 무거워지고, 지표면 근처에서 대기가 정체된다.
• 하지만, 찬 공기가 강하게 내려오면 오염물질을 밀어내면서 공기가 깨끗해질 수 있다.
✅ 2) 북서풍이 미세먼지를 밀어낸다.
• 겨울철 한파가 올 때는 **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(북서풍)**이 강해진다.
• 이 바람이 국내에 쌓인 미세먼지를 바다로 날려 보내면서 공기가 맑아진다.
✅ 3) 한랭전선이 통과하면서 공기를 정화한다.
• 겨울철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날은 한랭전선이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.
• 이 과정에서 눈이나 비가 내리면서 미세먼지가 씻겨 내려간다.
📌 결론:
✔ 한파가 오면 공기가 깨끗해지는 이유는 강한 찬 바람과 대기 정화 효과 때문이다.
✔ 하지만, 너무 춥고 바람이 약하면 오히려 미세먼지가 쌓일 수도 있다.
⸻
4. 미세먼지가 심한 날 & 추운 날, 어떻게 대처할까?
✅ 미세먼지가 심한 날 (고기압이 강한 날)
✔ 마스크(KF94) 착용
✔ 창문 닫기 & 공기청정기 사용
✔ 외출 후 세안 & 코세척
✅ 추운 날 (찬 바람이 강한 날)
✔ 보온에 신경 쓰고, 감기 예방
✔ 건조함을 막기 위해 수분 섭취 & 보습제 사용
✔ 너무 추울 때는 실내 운동으로 대체
⸻
💡 결론: 고기압, 저기압, 미세먼지, 추운 날씨의 관계 정리
1️⃣ 고기압이 강한 날 → 맑지만 대기 정체 → 미세먼지 농도 상승 가능성 높음
2️⃣ 저기압이 강한 날 → 흐리고 비/눈 가능성 높음 → 미세먼지 농도 낮음
3️⃣ 추운 날(한파가 온 날) → 강한 찬 바람이 미세먼지를 밀어내면서 공기 깨끗해짐
4️⃣ 하지만 너무 춥고 바람이 없으면? → 대기 정체로 미세먼지 축적될 수도 있음
즉, 맑다고 공기가 깨끗한 게 아니고, 흐리다고 공기가 나쁜 게 아니다.
기압과 기온의 변화에 따라 미세먼지가 쌓이기도 하고, 사라지기도 한다.
앞으로 날씨를 볼 때 “오늘 고기압이네? 미세먼지 쌓이겠군.”, **“찬 바람이 부네? 공기가 맑아지겠네!”**라고 예측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. 😊
'취미가 공부 > 과학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씨 vs 섭씨: 온도의 유래와 쉽게 변환/계산하는 방법 (5) | 2025.03.09 |
---|---|
가트너 2022년 전략 기술 트렌드 (Gartner Top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22) (0) | 2022.05.30 |
댓글